가족이란 올가미...
그렇더라도
올가미속에 갇히길 원하는 사람들
짜증나고, 화나고, 소통의 벽이 가로막힌 '그들' 과의 싸움속에서
그래도 살부비고 사는 이유는?
사람은 혼자 살 수 없고....
사람은 외로운 동물이고....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고...
사람은 사랑속에서 살아야 하며...
....
외로움을 견딜 힘이 없다고
스스로를 가두고
과소평가하며 살기 때문일 수도 있다 !?
문소리의 연기가 좋다
엄태웅도..
김태용 감독
문소리 엄태웅 고두심 공효진 봉태규
20060520 판타지움
.
.
.
.
.
.
.
.
.
.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298360.html
김태용<가족의 탄생>(2006): 가족, 혹은 어긋남의 자리
물은 0도나 100도에 이르면 숨어 있던 임계점을 보인다. 얼거나 비등하면서 ‘물’이라는 임시적이며 유동적인 체계가 허물어지고 고체나 기체로 변하는 것이다. 세상살이를 체계의 관점에서 살필 때에는 이처럼 임계점을 규정해보는 일이 중요하고 흥미롭다. 일부의 체계이론가들은 임계점을 잣대로 삼아 ‘열린 체계’와 ‘닫힌 체계’를 구별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닫힌 체계란 임계점에 이르지 않고는 바깥과 상시적인 접촉과 융통이 불가능한 체계를 가리킨다.
건강한 체계는 외부 환경과의 일상적 소통과 교환을 나누는 여러 채널을 확보하거나 재생산하는 법이다. 내부의 체증이나 외부의 침탈이 있어야만 비로소 열리는 체계는 결국 그 개방 자체와 함께 불행한 파국으로 치닫게 된다. 가이아나 인민사원사건이나 오대양 사건 등 집단자살 소동을 일으킨 여러 성격의 폐쇄적인 조직들이 좋은 예증이다. 남녀가 만나 이루는 가족이라는 제도도 하나의 체계이긴 마찬가지인데, 이 경우 사랑과 개방이 반비례한다는 통속적인 역설이 가족의 불행한 비밀이다. 가령 질투는 연애(사랑)에 근거한 관계의 체계적 배타성의 징후인 셈이고 이 배타성은 가족제도 속으로 고스란히 이전된다. 사랑이 달콤할수록 그 배타성(질투)은 깊어지곤 하지만, 마치 ‘호의가 지옥으로 가는 길’(마르크스)이라는 사실을 깨닫기 어렵듯이 바로 그 달콤한 배타성의 부메랑은 코앞에 닥쳐도 알 수가 없는 법이다.
사랑과 혈연으로 무장한 가족의 배타적 동일성이 주는 이익은 단기적이며 우연적이고 경험적(일회적)이다. 그 모든 달콤한 것은 속히 썩는 법! 그러나 사랑은 그 완악한 통속주의 속에서 배타성이 주는 달콤한 이익을 오인한다. (정신분석의 대중적 파급 이후, 사랑은 오직 오인 속에서만 성립한다는 주장들은 결코 낯설지 않다.) 그래서 가족과 사랑은 자연스러운 게 되고, 마냥 영속되리라고 전제하며, 운명적인 힘에 의해 조형된 것이라고 확신하고 만다.
그러나 가족은 자연적인 것도, 더구나 필연적인 것도 아니다. 김태용의 <가족의 탄생>이라는 타이틀처럼, 가족이라는 제도는 역사 속에서 그 기원을 어낼 수 있을 정도로 ‘탄생’한 것이다. 그리고 그 탄생은 늘 속되고 잡되다. 그것은 자의적인 제도에 의지하면서 지속되고, 아무 운명도 아닌 우연들에 의해 묶이고 풀릴 뿐이다. 물이 0도에서 얼면서 그 본질의 한 대목을 스스로 증거하는 것처럼, 가족은 그 가족이라는 제도의 0도를 보이는 순간에야 그 가족의 본질을 슬핏 드러낸다.
제도의 0도 속에서 발설되는 가족의 본질은 “너 나한테 왜 그래?/ 넌 나한테 왜 그러는데?”와 같은 문장으로 거듭 발설된다. 이 문장은 세속의 어긋남, 혹은 세속이라는 어긋남을 가장 통속적으로 드러내는 신호와도 같다. ‘결코 두 사람은 똑같이 사랑할 수 없다’(플로베르)는 사정은 쉽게 잊혀지고 ‘사랑을 준 만큼 사랑받지 못한다’(롤랑 바르트)는 투정만 늘어가는 것, 그것이 세속의 애정이자 세속의 가족이다. 낯설게 들리겠지만, 오인하므로 관계는 유지되고, 되레 어긋나므로 새로운 관계는 생성되는 것이다.
가족은 역사 속에서 ‘탄생’한 제도일 뿐 자연적인 것도, 필연적인 것도 아니다. 누이와 동생, 남자와 여자, 엄마와 딸은 서로 묻는다. “너 나한테 왜 그래?” “넌 나한테 왜 그러는데?” …영화는 그 지목하는 손가락들이 어긋나는 자리로서의 가족을 이야기한다
누이(미라)와 동생(형철)은 오랜 격조 끝에 재회하지만 그 재회의 반가움은 짧고 위태롭다. 생활양식을 나누어 갖지 못한 반가움은 ‘소망의 자의적 충족’(프로이트)이라는 뜻에서 대체로 환상적이기 때문이다. 관계의 기억에 기대는 반가움은 그 기억 속의 관계를 냉철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법이다. 특히 관계는 노릇이라기보다 오히려 버릇인데, 노릇에 의지하는 반가움은 결국 한갓 풍경으로 끝나버리고 그 풍경의 이면을 이드거니 견뎌낼 재간이 없다. 그래서 그 어긋남에서 어김없이 다시 묻는다. “너 나한테 왜 그래?/ 넌 나한테 왜 그러는데?” 말하자면 누이 노릇, 동생 노릇, 부모 노릇, 애인 노릇 등은 관계의 실상이 아니라 껍질에 가깝다. 반가움의 풍경이 끝나기가 무섭게 갖은 버릇들은 제 영토와 봉록을 고집한다. 마치 시체 속을 누비는 하아얀 구더기처럼, 그 버릇들은 스스로를 ‘하아얀 것’으로 표상한 채 언죽번죽 설쳐대면서 관계와 노릇의 환상에 송송 구멍을 낸다. 김태용은 “창작자의 딜레마 중 하나가 의도에 매몰되는 것인데, 의도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효과가 중요하지 않은가?”라고 반문한 바 있지만, 그것은 비단 창작자만의 딜레마가 아니다. 인간은 필연적으로 어긋나는데, 그것은 그가 무엇보다도 ‘의도’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선경은 엄마(매자)를 이해하지 못한다. 아니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는다. “엄만 도대체 왜 그러는데?/ 넌 대체 나한테 왜 그러는데?”라는 치명적인 대치는 사사건건 계속된다. 그러나 이해는 공짜로 찾아오지 않는다. ‘이해는 은총’(마르틴 부버)이라는 주장에 이르면 다소 수상쩍어 보이겠지만, 여러 학자들의 지적처럼 이해를 단지 인식론적 수확으로 여기는 태도는 시대착오적이다. 이해는 제 나름의 비용을 치른 후에야 의도와 어긋나면서 뒤늦게 찾아오는 법이다. 엄마가 죽은 후에 그 유품을 뒤적거리는 선경에게 이해의 빛은 느닷없이 스며든다. 급기야 세월의 비용을 치른 선경은 ‘엄마는 구질구질한 게 아니라 정이 많으셨던 거야’라고 엄마를 변명하는 데 이른다. 경석은 애인인 채현의 생활양식이나 버릇을 이해하지 못한다. 자신에게 관심을 집중해주지 않고 주변에 선의를 분산시키는 채현이 ‘헤픈 여자’로만 보인다. 자신이 채현을 사랑하는 만큼 사랑받지 못한다는 의심은 깊어간다.
|
||||||
가족은 가령 자본주의나 아동기처럼 역사의 곡절 속에서 비로소 탄생한 것이다. 그것은 자연스러운 것도 아니며 영속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더구나 발가벗은 일상 속의 그것은 한갓 허약한 제도인 탓에, 국가나 기업은 권력과 화폐로 지원하고, 종교나 도덕은 이데올로기와 환상으로 보위한다. 할리우드 영화들이 강박적으로 증명하려 하듯이 남김없이 가족주의로 귀결하는 가족서사들은 거꾸로 가족이라는 제도의 허약함을 웅변한다. 김태용의 <가족의 탄생>은 전편을 흐르는 그 따뜻한 시선에도 불구하고 가족의 제도적 불모성을 예리하게 묘파한다. 그것은 권력과 화폐와 도덕과 이데올로기의 울타리 속에 지탱되는 가족도 아니며, 가족애로 일심동체가 되는 가족도 아니다. 그것은, ‘넌 나한테 왜 그러냐?’고, ‘너를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네가 변했다’고 지목하는 그 손가락들이 어긋나는 자리로서의 가족을 말한다.
김영민 철학자
'즐거움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빈치코드 (0) | 2006.06.09 |
---|---|
FIVE times TWO (5×2) (0) | 2006.05.28 |
데브라 윙거를 찾아서 (0) | 2006.05.14 |
꿈꾸는 카페라 (0) | 2006.05.14 |
천국을 향하여 (0) | 2006.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