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몸에 있는 세포 한 개의 크기는 20~30마이크로미터(1밀리미터
디엔에이는 당으로 만들어진 뼈대 사이에 네 종류의 염기가 둘씩 짝을 지어 계단을 이룬 줄사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 아데닌은 티민, 구아닌은 사이토신하고만 짝을 짓는다. 계단 위아래 염기들의 배열 순서가 바로 생명의 암호문이다. 사다리 계단(염기쌍)은 30억개다. 우리 몸은 그 부호들이 써내려간 기록을 주형의 틀 삼아 복제하고 작동하고 또 유전한다.
디엔에이가 복제될 때 가끔 원래 설계도와 다른 글자(염기)가 끼어들어가기도 한다. 이런 ‘오타’는 특정한 질병을 부르기도 하지만, 기능 손상 없이 독특한 형질을 낳기도 한다. 99.9% 같은 인간의 디엔에이가 사람마다 다른 것은 여기에 기인한다. 그것을 뒤지는 것이 디엔에이 감식이다. 수사의 정점으로 여겨지지만 한계는 있다. 사람의 디엔에이 코드는 책 수천권 분량이다. 그래서 특정 부분을 띄엄띄엄 대조하는 방식을 쓴다. 많이 비교할수록 정확도는 높아지겠지만, 이 역시 확률의 범주를 벗진 못한다.
형 확정판결을 받기 전 피의자도 살인·성범죄 등 11개 범죄로 구속되면 디엔에이를 채취해 영구 보관할 수 있는 법안이 며칠 전 시행됐다. ‘생명코드’는 그렇게 0과 1의 언어로 작성되기 시작했다. 리처드 도킨스가 말한 ‘눈먼 시계공’처럼, 그 거침없는 질주가 어디를 향할지 우리는 아직 가늠하지 못한다.
20100728한겨레함석진 기자
'w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신과 계몽질 (0) | 2010.08.14 |
---|---|
김어준이 만난 여자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주연 김소현 (0) | 2010.08.14 |
공직자 발언으로 본 슬픈 자화상 (0) | 2010.07.29 |
‘언어 산업’에 담긴 무공해 가치 (0) | 2010.07.24 |
마음이 무거워져야 할 의무 (0) | 2010.07.24 |